지방구장의 현대화와 신축 야구장의 건설이 한창인 가운데 돔야구장에 대한 여론은 막대한 건설 비용과 수익화 방안, 운영 비용 등에서 건설에 대한 찬반 여론이 팽팽하다.

 

많은 우여곡절 끝에 고척동에 폐쇄형 돔구장이 건설 중이지만 기상 여건에 따라 언제든지 지붕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식 돔야구장 건설에 대한 의견도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다. 

 

개폐식 돔구장의 장점이라면 기상여건에 따라 지붕을 여닫을 수 있기 때문에 장마나 추위와 무관하게 경기를 진행할 수 있고 개방형 야구장에 버금가는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어 천연잔디 그라운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개폐식 돔구장 건설을 반대하는 여론이 있는 것은 막대한 건설비용과 함께 지붕 개폐시 운영 비용(전기요금 등등)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그도 그럴것이 가로세로 약 100여미터가 넘는 거대하고 무거운 지붕을 열었다 닫았다 하는데는 그 규모만으로도 엄청난 양의 전기가 소모될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미국 메이저리그 프로야구팀 중에는 6개 팀이 개폐식 돔구장을 사용하고 있는데 시애틀 매니러스의 세이프코 필드, 플로리다 말린스의 말린스 파크 등이 대표적인 개폐식 돔구장이다.

 

그중 류현진이 속한 LA다저스와 같은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소속인 애리조나 디백스 역시 "체이스필드"라는 개폐식 돔구장을 사용하고 있다. 체이스필드는 애리조나주에 속해 있는데, 애리조나주 마리코파 카운티의 홈페이지(http://www.maricopa.gov)에서 체이스필드에 운영에 대한 몇 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찾을 수 있었다.

 

 

애리조나 디백스의 홈구장 체이스필드

 

지붕이 닫힌 체이스필드

 

 

체이스필드의 지붕은 강철 트러스트 구조로 만들어진 6개의 지붕 조각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열리고 닫히는데 이 지붕의 총 무게는 9백만 파운드(약 4,082톤)에 달한다고 한다. 지붕의 바닥은 긴 레일 위에 올려져 있고 200마력의 모터 두쌍이 도르레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를 가동하여 열리고 닫히는 방식이다.

 

체이스필드 지붕이 열리고 있는 모습

 

 

 

이 거대한 지붕을 열고 닫는데 걸리는 시간은 총 4분 정도 소요된다고 하는데 지붕을 완전히 열거나 닫는데는 얼마의 전기 비용이 소요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마리코파 카운티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내용으로는 체이스필드의 지붕을 한번 열거나 닫는데 소요되는 전기 비용은 단 2달러($2.00)에 불과하다고 한다.

 

200마력의 모터 두 쌍을 약 4분간 움직이는데 소용되는 비용이 약 2달러인 것이다.

 

미국의 전기 요금과 단가 체계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2달러라는 전기 비용을 국내 환경에 대입했을 때도 그만큼의 비용(약 2천원)일지는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한 번 지붕을 열고 닫는데 엄청난 양의 전기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지붕을 열고 닫는 것만은 확실한 것 같다.

 

이 정도 비용이라면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필요에 따라 지붕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식 돔구장 운영을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Posted by prek
:

 

Rogers Centre(Skydome), Toronto

 

스카이돔으로 잘 알려진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홈구장 로저스 센터는 최초의 개폐식 지붕을 가진 돔구장이다. 1989년 당시 5억 8000만달러, 우리 돈으로 약 620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건설비를 들여 세워진 돔구장이다.

 

 

 

 

개장초기부터 2004년까지는 스카이돔이라고 불려졌으나 2005년 토론토 구단이 2500만 달러, 약 260억원이라는 헐값에 사들이면서 구장의 이름도 구단주가 소유한 정보통신 회사인 로저스 커뮤니케이션의 이름을 따 로저스 센터로 바뀌었다.

 

수용규모는 약 5만5천명이며, 야구는 물론 캐나다 풋볼리그, 각종 콘서트 등이 개최되는 북미의 대표적인 명소 중 하나이다.

 

 

 

 

로저스 센터는 개폐식돔구장이긴 하지만 천연잔디가 아닌 인조잔디(필드터프)가 깔려 있다. 그 이유는 야구 외 다른 행사가 많고 외야쪽 지붕의 개방 정도가 적어 잔디가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다. 90년 중반부터 인조잔디보다는 천연잔디가 깔린 구장이 선호되면서 부상 위험 때문에 선수들은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구장 중 하나이다.

 

 

 

 

 

돔구장의 지붕은 대형 철강 패널 4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고정된 하나의 패널 외에 3개의 패널이 움직이면서 개폐되는 방식이다.4개의 철강 패널은 비바람을 견딜 수 있는 철강 트러스트 구조이고, 전체 지붕의 무게는 무려 11,000톤에 달한다. 하나의 지붕 패널이 움직이는 속도는 분당 22미터 정도이다.

 

 

 

로저스센터(스카이돔) 건설 과정 영상, 1분 17초부터는 지붕이 개폐되는 영상도 볼 수 있다.




Posted by prek
:

이전에 포스팅한 세계 최초의 돔구장 애스트로돔에 대한 정보를 찾다보니 흥미로운 사실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돔구장은 기본적으로 기상 조건의 영향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 장마가 길고 겨울 추위가 심한 곳은 기상 상황과 무관하게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돔구장 건설이 끊임없이 검토되는 이유다.


그런데 미국 프로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돔구장 우천취소 경기가 있었다는게 믿어지는가? 그것도 세계 최초의 돔구장인 애스트로돔에서 말이다.


1976년 6월 15일 개장한지 11년 된 애스트로돔에서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의 메이저리그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그 날은 휴스턴 지역에 엄청난 폭우가 쏟아졌다고 한다. 


하지만 애스트로돔은 돔구장답게 비 한방울 떨어지지 않고 언제든 경기가 가능한 상태였고 휴스턴과 피츠버그팀의 선수들은 일찌감치 필드에 나와 몸을 풀며 경기를 준비했다.


그런데 폭우로 도로가 잠기면서 심판이 경기장에 도착하지 못하는 돌발상황이 발생했다. 경기시작 시간을 훌쩍 넘긴 오후 5시가 되서야 심판진이 도착했고 애스트로돔에는 소수의 관중만 입장한 상태여서 이미 시합은 불가능했다. 메이저리그사무국은 논의 끝에 우천으로 인한 취소결정을 내렸다.


이것이 비 한 방울 세지 않은 돔구장에서 발생한 돔구장 사상 최초의 우천취소 게임이 되었다고 한다.


Posted by prek
:

서울시가 탄천을 중심으로 코엑스부터 잠실주경기장 일대를 묶어 대형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복합 클러스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일명 "영동국제회의전시(MICE) 복합단지 조성계획안"


이 계획안 중 관심을 끄는 부분은 4만석 돔경기장 건설 계획이다. 2007년 오세훈 서울시장 재임때부터 검토됐던 내용이라고 하니 꽤 오랜 기간 사업이 계획된 듯 하다.


돔구장 건설 계획으로 온라인 야구 커뮤니티에서는 돔구장 건설 가능성과 실효성, 수익성 등에 대해 야구팬들의 갑논을박이 치열하게 오가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세계 최초의 돔경기장에 대해 글을 써보려 한다.


대규모의 관중을 수용하면서 야구, 축구, 풋볼 등 다양한 실외 스포츠 경기를 소화할 수 있는 돔경기장은 1965년 텍사스 휴스턴에 세워진 애스트로돔(Astrodome)이 최초이다.



마치 거대한 UFO가 내려앉은 듯한 애스트로돔의 외관


MLB 휴스턴 애스트로스, NFL 휴스턴 오일러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된 애스트로돔 내부



애스트로돔이 건설되기 전 지붕이 있는 가장 큰 실내경기장은 시카고 스타디움이었으나 야구나 축구같은 넓은 면적이 필요한 스포츠경기는 열릴 수 없는 크기였다. 관중도 2만 1000여명의 밖에 수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완전한 반구형의 지붕을 가진 애스트로돔은 야구, 풋볼 경기가 가능할 정도로 넓은 경기장 면적을 갖추었으며 6만 6,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경기장이었다. 천장 높이는 약 63m로 18층짜리 빌딩이 들어설 수 있는 크기이다.


애스트로돔이 최초의 돔경기장이면서 또다른 특이한 점은 지붕을 떠받드는 기둥이 없다는 것이다. 도쿄돔처럼 공기부양식 돔도 아니고 고척돔처럼 철골구조의 지붕도 아닌데 어떻게 그 넓은 지역을 기둥도 없이 덮을 수 있었을까? 비밀은 길이 196m에 달하는 강철 케이블이 대형 돔을 떠받들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 당시 모습


강철 케이블 위에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을 씌워 돔을 완성했으며 반투명이라 햇빛도 투과할 수 있는 구조였다. 하지만 투과된 햇빛이 선수들의 플라이볼 수비에 방해가 되어 추후 페인트칠을 하여 불투명하게 바뀌었다. 그런데 이로 인해 애스트로돔은 개장 당시 천연잔디를 사용했으나 이후 인조잔디로 바꾸게 되었다.


미국프로야구(MLB)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미국프로풋볼(NFL) 휴스턴 오일러스가 홈구장으로 이용했으며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피해로 발생한 이재민이 임시거처로도 사용되기도 하였다.



허리케인 피해로 이재민들의 임시거처가 된 애스트로돔



로데오 경기나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장으로도 사용되던 애스트로돔은 그러나 1999년 이후 프로스포츠팀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지 못했으며, 2009년 이후에는 어떤 행사도 열리지 못했다. 급기야 최근에는 구조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철거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약 2300억원을 들여 컨벤션센터 등으로 재개발하는 방안을 놓고 주민투표를 시행했으나 이것이 부결됐기 때문이다. 몇 년간 아무런 행사도 유치하지 못한 탓에 매년 유지, 관리비만 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라 다른 용도로 리모델링 하지 않으면 철거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한다.


Posted by prek
:

부지매입비 800억, 야구장 건설비 1583억, 고척교 확장 및 보행 광장 조성에 400억 등 총 3000억원 가까운 비용이 투입된 고척돔구장 공사가 2013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한창이다.

 

"기승전돔" 허구연을 비롯한 많은 야구인과 팬들의 숙원이던 최초의 돔구장이지만,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싸질러 놓은 세빛둥둥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등 여러가지 다양한 똥 중에 하나로 탄생하게 된 슬픈 과거를 가지고 있다.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지다보니 건설 과정 중 설계 변경과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 증액 등 여러가지 잡음이 끊이지 않았고, 완공 후 활용계획도 아직 수립되지 않고 있다.

 

 

내부 공사 현장 사진을 보니, 돔구장이라는 화려한 타이틀과는 다르게 조금 아쉬운 부분도 보인다.

 

덕아웃과 중계석 공간도 협소해 보이고, 복층으로 구성된 관중석 하층과 상층 사이에 스카이박스와 같은 차별화 된 공간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고척 야구장의 출발 자체가 동대문야구장을 대체할 아마추어 야구장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마케팅을 염두한 구장 설계가 되지 못한 것 같다. 내야 그라운드가 깔려야 제대로 모습을 드러내겠지만, 포수 뒤편도 관중석이 아닌 행정에 필요한 공간으로 꾸며질 것 같다.



고척야구장의 최초 조감도


최초 조감도에서 변경된 두번째 조감도


현재 공사중인 최종 조감도


좁은 부지에 억지로 돔구장으로 짓다보니 수용관중이 22,000명 밖에 되지 않는 것도 "돔구장"에 걸맞는 규모는 아니다. 외형만 뚜껑이 씌워진 돔구장일 뿐이지 국내 최초이자 당분간 유일한 돔야구장 타이틀을 가지게 될 경기장으로서 국내 최고의 야구장으로는 여러모로 아쉬운 점이 많이 보인다.


서울시로서는 연간 100억원의 막대한 운영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여 프로구단을 유치하고자 하지만,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의 프로구단들로서는 위치, 교통, 수용인원, 주차, 사용조건 등에서 고척돔구장의 매력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오랫동안 잠실을 터전으로 사용하고 있는 LG와 두산은 '강남'이라는 지역의 상징성과 접근성, 수용규모, 팬들에게 익숙한 환경 등으로 인해 고척돔구장 선택이 쉽지 않아 보인다.


고척돔과 10분 거리에 있는 목동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넥센히어로즈가 그나마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넥센의 이장석 구단주는 협상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인지 현재까지는 시큰둥한 반응이다. 


하지만 어쩔도리가 없는 서울시로부터 연간사용료 지원과 구장 광고권 및 상업시설 영업권 등 조건을 유리하게 협상하여 결국엔 넥센이 사용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Posted by prek
:

싱가폴에서 Sports Hub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로 건설 중인 6만명 규모의 돔구장

 

이외에도 12,000명 수용 규모의 실내체육관, 6,000명수용의 수영장 및 각종 편의, 상업시설 등이 함께 건설될 예정으로 총 공사비는 2조 2천억이 넘는다고 함 (4대강 강바닥에 쏟아부은 돈 22조원ㅅㅂ)

아무튼 2014년 개장을 목표로 공사하고 있고 현재 공정율은 대략 40% 수준?

메인스타디움인 돔구장에서는 축구, 육상, 크리켓 등의 경기가 가능한 복합경기장이고, 명칭은 "쿨돔(가칭이지만 너무 단순하네..)"이고 개폐식 돔구장이라고 함..

 

개폐식 돔이라고 하는데 모델링된 이미지를 보니 지붕이 양쪽으로 벌어졌다가 닫히는 구조인 듯 함. 완전 밀폐되는 돔구장은 아니고 구장 한쪽 끝이 뚫려 있을 거 같음..

 

디자인 및 설계는 미국의 Aecom사

 

 

 

 

 

2013년 1월 현장 사진

 

 

 

Posted by prek
:

포스코건설이 사업제안서 제출을 연기한 끝에 투자를 포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광주시가 의욕적으로 내놓은 광주 돔구장 건립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이에 박광태 광주시장은 맹목적 비판은 지역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원론적 얘기를 내놓고 있는데요.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자신의 과오와 욕심을 망각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박광태 광주시장


사실 광주시 박광태시장의 돔구장 발언이 나왔던 시기가 광주에서 올스타전이 열리던 시기라 발언의 진지함과 순수함보다는 다른 의도를 의심하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리고 시장으로 당선되기 위해 '야구장'드립을 유효적절하게 사용했던 전과가 있기 때문에 이번 역시 사람들의 시선은 곱지 못했죠.

서울이나 부산같은 인구 천만명 가까운 대도시에서도 사업성과 수익성때문에 추진되지 못하는 것이 돔구장 사업인데 인구 140만명 정도의 광주에 돔구장이 생긴다는 것은 갓 입사한 신입사원이 마이바흐를 끌고다닌다는 것만큼 부담되고 벅찬게 사실이죠.

처음부터 가능성이 제로에 가까운 사업을 발표하고 진행해 온 것은 순전히 야구인프라 개선이나 시민의 여가 시설 확충보다는 다른 불순한 의도가 있었음이 당연합니다. 그런데 이제와서 비난 여론이 빗발치자 억울드립을 치고 있는겁니다.

더이상 야구장 건립문제가 야구단과 야구팬을 볼모로 자신들의 이득 실현을 위해 사용되질 않길 바라며 돔구장이 아니라도 좋으니 더도말고 덜도 말고 2만5천명 수용에 복층 관중석을 가진 천연잔디구장이 건립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Posted by pre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