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프로야구에 광주 신축 야구장의 건축과 더불어 각 구장마다 관람 환경 개선 노력이 한창이다.


구장 리모델링은 매년 조금씩 꾸준히 있어 왔는데 과거에는 노후화 된 인조잔디나 의자, 펜스, 기타 구조물 등을 개보수하는 리모델링이 대부분이었다면 최근에는 그라운드와 가까운 익사이팅 존을 만들거나 빛반사가 심한 녹색 그물망을 검정색 그물망으로 교체하는 등 관람 편의를 위한 리모델링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관람 편의를 저해하는 요소들이 적지 않은데.. 대표적으로 그물망을 지지하고 있는 쇠기둥이 그것이다.


잠실야구장 내야 쇠기둥



부산 사직야구장 내야 쇠기둥과 난간



대구 야구장 내야 쇠기둥



문학야구장 내야 쇠기둥



목동 야구장 내야 쇠기둥



광주 신축 야구장 내야 기둥




파울타구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 일정 수준의 그물 설치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쇠기둥을 최소화하여 좀 더 깔끔하고 간결하게 그물을 설치하는 것이 고난이도의 작업인가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미국 마이너리그 구장 몇군데를 찾아보았다.






위 야구장은 2009년 약 800억원의 건축비가 투입되어 건설된 트리플A 구단 콜럼버스 틀리퍼스의 홈구장인 헌팅턴 파크다. 내야 그물이 넓게 설치되어 있지만 내야 어디에도 쇠기둥은 찾아볼 수 없다.






위 야구장은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스프링캠프가 있는 플로리다 레이크랜드에 있는 Joker Marchant Stadium인데 백스탑에 설치된 그물이 느껴지지 않을 만큼 개방감이 탁월하다.






위 야구장은 노스 캐롤라이나의 작은 시골마을에 위치한 Wake Forest Baseball Park라는 야구장인데 단 6,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작은 야구장인데도 관람 시야는 우리나라 어느 야구장보다도 탁월하다. 내야 대부분을 그물로 덮고 있지만 쇠기둥은 단 두개 뿐이다.


위와 같은 미국 야구장 그물은 "C&H Baseball"같은 야구장 시설물 전문 업체에서 직접 시공한다. C&H Baseball 웹사이트를 방문해보면 400여개의 크고 작은 야구장과 체육시설에 안전그물망을 시공한 사례가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미국의 이런 안전그물 시공업체들은 대부분 규모가 그리 큰 업체가 아닌데도 견고하고 완성도 높은 야구장 그물을 시공한다.


우리나라 야구장은 안전상의 이유로 내야 전체에 그물을 설치해야 하지만 위의 마이너리그 야구장의 사례를 보더라도 쇠기둥을 최소화하여 그물을 설치하는게 무슨 최첨단 하이테크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 아님을 잘 알 수 있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 야구장은 저런 그물을 설치하지 못하는 것일까? 관심과 노력, 연구가 부족하다고 밖에 생각을 못하겠다.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광주 신축 야구장 "광주 KIA 챔피언스 필드"도 메이저리그급 야구장을 지향했지만 내야 그물과 쇠기둥은 여전히 과거 사례를 답습하고 있다.

Posted by prek
:

오늘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광주 신축야구장 외야 펜스의 홈런 라인이다. 아래는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광주 신축 야구장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의 외야 펜스의 홈런 라인 사진이다.

 

 

공원 등에서 많이보던 쇠 철조망 상단에 노란색 페인트를 칠해 홈런라인을 구분해 놓았다.

이런 식의 펜스와 홈런 라인은 광주 뿐 아니라 우리나라 다른 구장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난 해 내야 증측과 외야 리모델링을 진행했던 대전 구장 역시 광주 신축 야구장과 같은 형태의 펜스와 홈런 라인이다.

 

 

 

이번엔 메이저리그 야구장의 펜스와 홈런 라인을 보자.

 

 

 

 

 

 


위에서 본 광주 신축야구장, 대전 야구장과 비교해 메이저리그 야구장의 홈런 라인은 펜스와 같은 완충제로 만들어져 있다. 펜스를 넘어가는 홈런성 타구를 향해 글러브를 뻗는 선수의 부상방지에 탁월할 것이라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


잠실야구장도 내야에 위치한 불펜 펜스의 철조망 상단이 수비시 부상 위험이 있어 완충제를 설치한 바 있다.


 

선수들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야구장 시설물의 안전성이 강조되면서 작년에 KBO에서도 펜스에 대한 규정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내외야 펜스 높이와 두께에 대한 규정만 있을 뿐 홈런 라인과 같은 세부적인 내용은 없다.


(KBO의 외야 펜스에 대한 규정은 내야 높이 2.4미터 이상, 내야 1m이상, 펜스 완충제 두께 8cm 이상임)


각 나라별로 고유한 건축 방식이 있기 때문에 메이저리그 야구장의 홈런라인과 우리나라 야구장의 홈런라인 중 어느 것이 맞다고 해야 할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100년 이상의 야구역사와 선진화 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메이저리그 야구장이 홈런 라인을 완충제로 설치한 데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다.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는 메이저리그 야구장에 준하는 시설과 관람편의성을 지향하며 설계되고 건축되었는데 불펜과 펜스, 홈런 라인, 관중석 난간 등 좀 더 세밀하고 섬세한 뒷마무리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Posted by prek
:



현재 공정율은 72% 정도..

Posted by prek
:

잠실야구장을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는 올시즌이 시작되기 전 38억원을 들여 잠실야구장에 대한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동안 많은 야구인과 선수들이 요구했던 원정팀 라커룸이 설치되었고, 관중 의자와 테이블석의 상판도 교체되었다. 내야 그물망도 기존 녹색에서 검은색으로 교체하여 관중들의 시야 확보도 용이하게 하였고 내야의 흙도 메이저리그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교체하였다고 한다.

 

많은 것들이 관중의 관람 편의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개선되었는데, 단 하나 그렇지 못한게 있다. 바로, 포수 뒷 공간(Back-stop, 백스탑)과 내야석 팬스라인을 따라 설치된 인조잔디다.

 

2013시즌 시작 직전 공사한 잠실야구장의 잔디, 포수 뒷쪽과 내야석 팬스라인을 따라 잔디색, 흙색의 인조잔디가 깔려 있다. (빨간색 화살표)

 

중앙 지정석(프리미엄석)에서 본 모습

 

3루 지정석에서 본 모습

 

누가 인조잔디라고 가르쳐주지 않아도 "나 인조잔디다!"라고 스스로 광고라도 하듯, 천연잔디와는 확연히 다른 형광색을 띄고 있다. 이게 천연잔디 구장인지, 인조잔디 구장인지.. 아니면 천연잔디와 인조잔디가 혼합된 하이브리드형 구장인지 분간이 안가는 기이한 형상이다. 

 

지난 주 NC와 LG의 야간경기를 직접 관람해보니 야간인데도 불구하고 조명빛이 인조잔디에 의해 반사되어 눈부심 현상이 느껴졌다. (위 사진만 봐도 인조잔디 색상이 천연잔디색상과 확연히 달라 눈에 거슬려 보인다.)

 

2012시즌 잠실야구장의 말끔한 모습의 천연잔디 그라운드

 

이렇듯 보기에도 어색하고 관람 시야에도 좋지 않은 인조잔디는 왜 설치된 것일까?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바로 "관리"가 편하기 때문이다.

 

홈플레이트 뒤에서 관중석까지 20여미터 정도 되는 백스탑(back-stop)은 경기 중에 파울플라이나 폭투가 발생했을 때를 제외하곤 수비행위가 많이 발생되지 않는 지역이다. 하지만 경기 전 선수들의 프리베팅이나 토스배팅을 이 지역에서 하기 때문에 잔디 훼손은 그 어느 곳보다 심한 지역이다. 경기 중에는 다음 타자가 대기하기도 하고 볼걸과 심판, 기자, 야구 관계자들이 수시로 오가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다른 곳보다 잔디 관리가 쉽지 않다. 경기 전에는 대형 천으로 덮어 놔야 하고, 선수, 심판, 기자들이 빈번하게 오가기 때문에 새로 잔디를 심고 가꾸는 일에도 손이 많이 갈 수 밖에 없다.

 

이렇듯 잔디 관리까다롭다보니 아에 인조잔디로 덮어버린 것이다. 하는 김에 포수 뒤쪽 뿐 아니라, 내야석 팬스 앞쪽까지 모두 인조잔디로 덮어버렸다. 팬스 하단은 잔디 깎기가 불편하고 그늘 진 곳이 많아 이 역시 잔디 관리가 쉽지 않은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조잔디로 덮어버림으로써 관리는 편해졌을지 몰라도 선수들의 경기력과 관중들의 관람에는 전혀 도움이 되질 않는다.

 

백스탑이 경기 중 수비 행위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은 아니지만, 엄연히 야구룰이 유효하게 적용되는 수비 지역이다.

 

파울플라이를 잡거나 폭투된 공을 잡으러 갈때 등 긴박한 상황에서 슬라이딩도 필요한 곳이다. 내야 팬스도 마찬가지다. 팬스플레이를 하는 야수들이 전력질주하여 공을 캐치해 내는 곳이 팬스 앞인데 그 곳을 흙이나 천연잔디가 아닌 인조잔디로 둘러 놓은 것은 선수들의 수비 행위에 전혀 도움이 되질 않고 오히려 부상의 위험만 높일 뿐이다.

 

사회인야구를 해보신 분들 중에 쇠징스파이크를 신고 인조잔디에 서 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인조잔디 위에서 쇠징 스파이크가 얼마나 위험한지 아실 것이다. 흙이나 천연잔디와 같은 자연스런 미끄러짐과 쿠션이 없기 때문에 쇠징이 인조잔디에 걸려 발목이 꺾이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잠실야구장의 인조잔디는 이런 사소한 경우까지 세심하게 고려되지 못하고, 단지 관리가 편하다는 이유 하나로 설치 되었다. 그것도 미국이나 일본의 야구장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기이한 형태로 말이다.

 

그런데, 백스탑에 인조잔디를 설치한 야구장이 잠실이 처음이 아니다. 공교롭게도 가장 관중친화적이라는 문학야구장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이런 시도를 하였다.

 

2011시즌까지 사용된 문학야구장의 내야 잔디 모습

 

2012시즌부터 인조잔디로 바뀐 문학야구장의 백스탑. 내야석 팬스 하단도 흙색 인조잔디가 깔려 있다. (빨간색 화살표)

 

문학야구장의 백스탑 역시 "관리 편의"를 위해 선수들의 플레이나 관람 시야 방해는 고려되지 않고, 기이한 형태를 가진 인조잔디로 둘러싸여 있다.

 

잠실야구장을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는 문학야구장에서 시도한 잘못된 방법을 벤치마킹(이런 것도 벤치마킹이라고 해야할지..)이라도 한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지금은 잠실과 문학 두군데만 저런 듣도 보고 못한 이상한 형태의 인조잔디가 설치되어 있지만, 부산 사직이나 광주 무등야구장, 대전 한밭구장도 언제 저렇게 변할지 모르는 일이다.

 

지자체는 누구를 위해 야구장을 관리하는가? 야구장은 관리주체(지자체들)의 편의와 비용절감을 위해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서 직접 플레이 하는 선수와 경기를 관람하는 관중을 위해 관리되어야 한다. 야구붐을 이유로 구장 임대료는 매년 몇 배씩 올려받고 있으면서 그에 합당한 관리와 지원이 되었다고 생각하는지??

 

신축 중인 광주 야구장 관계자가 이 글을 본다면 잠실이나 문학의 인조잔디 배치는 참고하지 않았으면 싶다.

 

Posted by prek
:

일본 미야기현에 위치한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Kleenex Stadium Miyagi)" 야구장은 야구장 리모델링의 최고 사례로 꼽을만하다.


1950년도에 건설된 오래되어 낡은 야구장을 어느 현대식 야구장 부럽지 않을 정도로 멋지게 리모델링 하였고, 지역밀착 마케팅과 다양한 수익모델로 개장 첫 해인 2005년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라쿠텐의 성적이 좋지 않음에도 연일 많은 관중이 들어오는 명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2005년부터 퍼시픽리그 소속의 토오쿠 라쿠텐 이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 중이지만, 그전에는 프로팀이 홈구장으로 사용한적이 없는 외진 지역의 야구장이었다. 1970년대에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전신인 롯데 오리온스가 제 2 홈구장으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리모델링 전의 미야기 야구장 모습


리모델링 전 미야기 야구장의 모습은 우리나라의 대구, 대전, 광주의 야구장과 유사한 형태였다. 하지만 리모델링을 거친 후 180도 달라진 새로운 야구장으로 변신하였다.


리모델링 전과 비교해보면 전혀 다른 야구장이라고 할 정도로 새롭게 변신하였다.


정식명칭 :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Kleenex Stadium Miyagi)


- 위치 : 미야기현 센다이시

- 개장일 : 1950년 5월 5일

- 리모델링 후 재개장 : 2005년

- 그라운드 : 필드터프 인조잔디

- 구장명칭 : 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2005년 3월 20일~2007년 10월 4일)
                : 일본 제지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2008년 1월 1일 ~ 현재)

- 수용인원 : 약 28,000명

- 좌우 : 101.5m
- 중앙 : 122m


리모델링 공사 당시



2005년엔 외야 관중석을 새롭게 만들고 내야 일부를 증축하는 1차 리모델링만 진행되었다.


2005년 1차 리모델링 후에는 수용관중이 22,000여명 수준이었으나 계속된 증축 공사를 통해 현재는 28,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중형 야구장으로 탈바꿈하였다.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야구장은 지금도 매년 9억엔 이상의 비용을 들여 조금씩 증개축 작업이 진행 중이다.


원래 내야는 흙, 외야는 천연잔디 구장이었으나 라쿠텐 이글스가 출범하면서 필드터브 인조잔디로 교체하였다. 아무래도 동북쪽에 위치해 있어 낮은 기온 때문에 잔디관리가 어려운 환경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리모델링시에는 이와 같은 하프돔 형태의 조감도도 검토되었다.

 

1, 3루 쪽 내야 상단부가 증축된 현재의 모습

 

외야 관중석은 홈팀인 라쿠텐 이글스의 상징인 독수리 날개를 형상화하여 설계되었다.

 

메인 출입광장

 

 


작년에 한화이글스도 현재 사용중인 대전야구장을 증개축하여 수용인원을 늘리는 등 우리나라에서도 오래된 야구장의 현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마산 야구장 역시 깔끔하고 쾌적하게 리모델링되어 이제 곧 프로야구팀의 풀타임 홈구장으로서 개장을 기다리고 있다.


1,000억원 이상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신축구장 건설도 좋지만,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야구장과 같은 우수한 리모델링 사례를 표본으로 삼는 것도 낙후된 지방 구장의 현대화 작업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osted by prek
: